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택연금, 월 수령액 계산하기

by 지사만 2024. 8. 20.

주택연금을 가입하면 매월 일정한 금액을 수령하면서, 노후 생활을 보다 안정적으로 준비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연금의 월 수령액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고, 실제 예시를 통해 계산해 보겠습니다.

주택연금 월 수령액 계산 방법

주택연금 월 수령액을 계산하려면 먼저 2가지를 알아야 합니다.

1. 부부 중 연소자의 나이

부부 중 나이가 젊으신 연소자 나이를 기준으로 월 수령액이 결정됩니다. 주택가격이 동일하다면 연령이 높을수록 월 수령액이 많아지고, 연령이 낮을수록 월 수령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2. 주택가격

주택가격은 주택연금의 월 수령액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주택가격이 높을수록 월 수령액이 높아집니다. 주택가격은 공사에서 인정하는 시세로 적용되는데, 다음을 순차적으로 적용합니다.

  1. 한국부동산원의 인터넷 시세
  2. 국민은행의 인터넷 시세
  3. 공시가격(공시가격이 없는 경우 시가표준액)
  4. 공사와 협약을 체결한 감정평가업자의 최근 6개월 이내 감정평가액

※ 위 링크를 통해 주택연금 예상금액을 직접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월 수령액 계산 예시(24년 5월 1일 기준 예상금액)

위 링크를 이용해 주택연금의 월 수령액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가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택가격 : 2억 원
  • 부부 중 연소자 나이 : 만 65세
  • 지급방식 : 종신지급방식

이 경우, 주택연금 가입자의 월 수령액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먼저, 지급유형에 따라 월 수령액이 달라집니다. 지급유형은 정액형, 초기증액형, 정기증가형이 있습니다.   

정액형

정액형은 매월 일정한 금액으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정액형으로는 매월 480,450원을 받게 됩니다.

초기증액형

초기증액형은 가입자가 선택한 기간(3,5,7,10년) 동안은 정액형보다 많이 받다가 이후부터는 초기 월수령액의 70% 수준으로 받는 방식입니다. 3년을 선택하여 조회하였습니다. 초기 3년 동안은 매월 637,850원을 수령하다가, 4년째부터는 매월 446,5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정기증가형

정기증가형은 처음에 적게 받다가 매 3년마다 4.5%씩 증가하는 방식입니다. 첫 3년 동안은 매월 405,360원을 수령하고, 그다음 3년간은 매월 423,600원, 그리고 또 그다음 3년간은 매월 442,66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주택연금 연령별 월 수령액 정리표(24.03.01 기준)

종신지급방식&정액형 기준입니다. 천 원 밑으로 절삭하였으니 참고 바랍니다.

  60세 65세 70세
1억원 198,000원 240,000원 295,000원
2억원 396,000원 480,000원 591,000원
3억원 594,000원 720,000원 886,000원
4억원 791,000원 960,000원 1,182,000원
5억원 989,000원 1,201,000원 1,478,000원
6억원 1,187,000원 1,441,000원 1,773,000원
7억원 1,385,000원 1,681,000원 2,069,000원
8억원 1,583,000원 1,921,000원 2,365,000원
9억원 1,781,000원 2,162,000원 2,660,000원
10억원 1,979,000원 2,402,000원 2,956,000원
11억원 2,177,000원 2,642,000원 3,251,000원
12억원 2,375,000원 2,882,000원 3,278,000원

주택연금의 월 수령액은 부부나이와 주택가격뿐만 아니라 어떤 지급방식과 유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종신지급방식과 정액형을 많이 선택하여 예시로 든 것이오니, 다른 방식들도 꼭 확인하여 안정적인 노후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 더 보기

 

1. 주택연금 신청방법 및 가입조건 알아볼까

2. 주택연금, 이사가거나 재건축하게 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