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10

주택연금 가입자들의 선택은? - 신탁방식 선택, 평균 가입 연령 등 안정적인 노후계획에 매우 중요한 주택연금! 주택연금 가입자들은 어떤 선택을 했을까요? 가입자들의 통계자료를 살펴보는 것은 주택연금 가입을 알아보시는 분들의 선택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은 주택연금에 관한 통계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자 신규/해지 건수주택연금 신규 가입 건은 17~21년까지 1만건을 유지하다가, 집값이 떨어지기 시작한 22년에 14,580건으로 전년 대비 35%정도 증가했습니다. 20~21년에 집값이 상승하여 해지건수가 증가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주택가격 전망에 따라 1년만에 주택연금 가입과 해지가 정반대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신탁방식 vs 저당권방식배우자 자동 승계가 가능한 신탁방식이 21년 06월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도입 첫 해인 21년에는 40.8%, 22년.. 2024. 8. 24.
주택연금, 가입자 사망시 배우자 자동 승계? 신탁방식 알아보기 주택연금 가입자가 사망할 경우, 배우자가 자동으로 연금을 계속 수령할 수 있는 방식이 있고 자녀동의를 얻어야 수령할 수 있는 방식이 있습니다. 배우자가 자동 승계할 수 있는 방식이 바로 신탁방식입니다. 그럼 신탁방식은 장점만 있을까요? 오늘 포스팅에서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담보설정방식주택연금을 가입할 때 담보설정방식은 저당권방식과 신탁방식이 있습니다. 저당권방식은 주택소유자가 주택에 저당권을 설정하여 담보로 주택금융공사에 제공하는 방식이고, 신탁방식(21.06.09 시행)은 주택소유자와 공사가 체결하는 신탁계약에 따른 신탁을 소유권 이전(등기)하여 담보로 주택금융공사에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말이 너무 어렵나요? 중요한 것은 공사가 어떤 방식으로 담보를 취득하느냐보다 각 방식별로 가입자에.. 2024. 8. 23.
주택연금 지급방식 : 종신형, 확정기간형, 혼합형 결정하기 주택연금 신청하려고 하니, 여러 지급방식과 지급유형이 있어서 알아봐야 할 것들이 많죠. 주택연금은 안정적인 노후 계획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고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연금 지급방식을 결정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준비했습니다. 딱 3가지 질문에 답을 하면 본인 상황에 맞는 지급방식을 찾아가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3가지 질문주택연금 평생 받을까? 일정 기간만 받을까?가입 이후 목돈 인출할 일이 있을까?초기에 많이 받을까? 일정하게 받을까?1. 주택연금 평생 받을까? 일정 기간만 받을까? : 종신방식 vs 확정기간방식평생 동안 받는다내 집에서 평생 거주하며 평생 동안 받는 방법으로 종신방식, 대출상환방식, 우대방식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2024. 8. 22.
주택연금 지급유형 : 정액형, 초기증액형, 정기증가형 결정하기 주택연금은 노후 생활을 안정적으로 준비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렇게 중요한 주택연금을 가입할 때 지급방식, 지급유형 등을 선택해야 하는데, 충분히 알아보고 선택해야겠죠. 오늘은 주택연금 지급유형인 정액형, 초기증액형, 정기증가형 중 어떤 유형이 가입자의 상황에 적합한 선택일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지급유형 종류1. 정액형매월 일정한 금액으로 고정하는 방식2. 초기증액형가입자가 선택한 기간(3,5,7,10년) 동안은 정액형보다 많이 받다가 이후부터는 초기 월 수령액의 70% 수준으로 받는 방식3. 정기증가형처음에 적게 받다가 매 3년마다 4.5%씩 일정금액이 증가하는 방식지급유형별 월 수령액 비교 예시지급유형별 주택연금 월 수령액 차이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주택가격 2억 원, 종신방식으로 가정하였습.. 2024.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