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주택연금, 몇 세에 가입하는 것이 좋을까?

by 지사만 2024. 8. 27.

주택연금을 가입할 때 몇 세에 가입하는 것이 연금을 많이 받을 수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연금을 몇 세에 가입하는 것이 가장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연금 가입 연령 기준

주택연금 가입조건으로 부부 중 1명이 만 55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주택연금 신청방법 및 가입조건 알아보기

가입 나이와 월 수령액의 관계

주택연금 월 수령액은 2가지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 부부 중 연소자의 나이
  • 주택가격

만약 주택가격이 동일하다면 부부 중 연소자의 나이가 높을수록 월 수령액이 많아지고, 연소자의 나이가 낮을수록 월 수령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주택연금 월 수령액 계산하기

몇 세에 가입할까?

<가정>

  • 주택가격 : 2억 원
  • 지급방식 : 종신지급방식
  • 지급유형 : 정액형
  • 가입연령 : 55세, 60세, 65세, 70세, 75세(55세~75세까지 주택가격 변동 없음)

일찍 가입할수록 먼저 연금을 수령하게 되니 55세가 처음에는 좋아 보이지만, 74세가 되면 60세에 주택연급에 가입한 사람의 누적연금 수령액이 더 많아집니다.
 
80세, 90세, 100세까지 수령한다는 가정하에 가입연령별 누적 연금수령액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80세 - 누적 연금수령액 비교

1등 : 60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99,792,000원)
2등 : 65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92,246,400원)
3등 : 55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90,863,760원)
4등 : 70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78,046,320원)
5등 : 75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53,329,680원)

90세 - 누적 연금수령액 비교

1등 : 65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149,900,400원)
2등 : 70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148,997,520원)
3등 : 60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147,312,000원)
4등 : 75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142,212,480원)
5등 : 55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125,811,360원)

100세 - 누적 연금 수령액 비교

1등 : 75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231,095,280원)
2등 : 70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219,948,720원)
3등 : 65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207,554,400원)
4등 : 60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194,832,000원)
5등 : 55세 가입자 (누적 연금수령액 : 160,758,960원)
 

비교 결과

가입연령별 주택연금 누적 연금수령액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55세 가입자의 경우 60세 가입자에게 너무 빨리 따라 잡힌다는 생각이 드네요. 80세 누적 수령액 1등은 60세 가입자, 90세 누적 수령액 1등은 65세 가입자, 100세 누적 수령액 1등은 75세가입자인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습니다.
 
인상 깊었던 점은 90세 누적 수령액이 60세~75세 가입자가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현재 24년도 주택연금 월 수령액 산정 기준이 90세 근방을 기준으로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누적 연금수령액이 많다고 무조건 유리할까요?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입자의 건강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고, 어떤 사정으로 인해 중도해지를 하게 될 경우 상환해야 할 부채가 많아지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가입자가 건강하게 장수한 이후에 사망할 때에는 다릅니다. 주택처분금액보다 많은 연금을 수령했더라도 그 부족분에 대해 상속인이 갚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때는 누적 연금수령액이 많은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결론적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와 금융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유리한 가입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