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 트리플럭 복권 당첨의 비밀 : 당첨 구간 분석과 구매 전략 복권 당첨은 누구나 꿈꾸는 이벤트가 아닐 수 없죠. 로또, 연금복권이 가장 유명하고 사람들이 많이 사지만, 당첨확률을 생각하면 대부분 당첨될 것을 기대하고 사기보다는 그냥 한 주의 희망을 사는 느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로또, 연금복권의 1등 당첨됐던 번호 / 시간대 / 자동여부를 분석해서 구매를 한다고 해도 모두 독립시행이기 때문에 크게 확률이 높아진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트리플럭' 복권은 조금은 더 전략적인 구매를 통해서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제가 분석한 결과인 트리플럭의 당첨 구간과 구매 전략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트리플럭 기본 정보트리플럭 첫 화면동행복권에서 트리플럭 접속하면 1등 당첨금액, 1등 당첨현황, 판매수량, 판매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 2024. 9. 1. 주택연금, 몇 세에 가입하는 것이 좋을까? 주택연금을 가입할 때 몇 세에 가입하는 것이 연금을 많이 받을 수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연금을 몇 세에 가입하는 것이 가장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연금 가입 연령 기준주택연금 가입조건으로 부부 중 1명이 만 55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주택연금 신청방법 및 가입조건 알아보기가입 나이와 월 수령액의 관계주택연금 월 수령액은 2가지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부부 중 연소자의 나이주택가격만약 주택가격이 동일하다면 부부 중 연소자의 나이가 높을수록 월 수령액이 많아지고, 연소자의 나이가 낮을수록 월 수령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주택연금 월 수령액 계산하기몇 세에 가입할까?주택가격 : 2억 원지급방식 : 종신지급방식지급유형 : 정액형가입연령 : 55세, 60세, 65세, 70세.. 2024. 8. 27. 주택연금, 집값 올랐다고 중도해지하면? 집값 상승장에는 주택연금을 중도해지하는 가입자가 증가합니다. 주택연금에 가입한 이후에 중도해지하면 수령액과 이자만 상환하는 것이 아니라 보증료도 상환해야 되기 때문에 손해가 적지 않습니다. 가입하기 전에 미리 중도해지에 대해 알아둬서 대응하시면, 손해를 줄이실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중도해지란?주택연금 중도해지는 가입자가 계약 기간 중에 주택연금 계약을 종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가입자가 주택연금 상품이 마음에 안 들거나, 집값이 상승하여 주택을 매각할 때 중도해지를 선택합니다. 주택연금을 중도 해지하면 그동안 받았던 수령액뿐만 아니라 보증료, 이자 등을 상환해야 합니다. 주택연금 부채상환액 계산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연금 부채 계산 연도별 중도해지율주택연금 평균 중도해지율.. 2024. 8. 26. 주택연금도 결국 대출이다 - 금리, 부채 상환 주택연금도 결국 주택을 담보로 한 담보대출입니다. 주택연금은 공공기관에서 운용하는 상품이라 공공성을 고려하긴 하겠죠. 하지만, 세상에 공짜는 없습니다. 손해만 보는 상품도 없습니다. 오늘은 주택연금을 대출의 관점으로 다른 대출과 비교해서 금리는 어떤지, 부채는 어떻게 상환하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담보대출과 주택연금 중에 고민하고 계시는 분들이 읽으시면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정보로 준비했습니다. 주택연금 금리 주택연금 적용금리는 '기준금리' + '가산금리'입니다.기준금리 : CD(91일물), COFIX(신규취급액 기준) 중에 고객과 금융기관이 협의하여 한 가지를 선택합니다.가산금리 : CD(91일물)의 경우 1.1%, COFIX(신규취급액 기준)의 경우 0.85%를 가산합니다. 용어가 너무 .. 2024. 8. 25. 주택연금 가입자들의 선택은? - 신탁방식 선택, 평균 가입 연령 등 안정적인 노후계획에 매우 중요한 주택연금! 주택연금 가입자들은 어떤 선택을 했을까요? 가입자들의 통계자료를 살펴보는 것은 주택연금 가입을 알아보시는 분들의 선택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은 주택연금에 관한 통계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자 신규/해지 건수주택연금 신규 가입 건은 17~21년까지 1만건을 유지하다가, 집값이 떨어지기 시작한 22년에 14,580건으로 전년 대비 35%정도 증가했습니다. 20~21년에 집값이 상승하여 해지건수가 증가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입니다. 주택가격 전망에 따라 1년만에 주택연금 가입과 해지가 정반대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신탁방식 vs 저당권방식배우자 자동 승계가 가능한 신탁방식이 21년 06월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도입 첫 해인 21년에는 40.8%, 22년.. 2024. 8. 24. 주택연금, 가입자 사망시 배우자 자동 승계? 신탁방식 알아보기 주택연금 가입자가 사망할 경우, 배우자가 자동으로 연금을 계속 수령할 수 있는 방식이 있고 자녀동의를 얻어야 수령할 수 있는 방식이 있습니다. 배우자가 자동 승계할 수 있는 방식이 바로 신탁방식입니다. 그럼 신탁방식은 장점만 있을까요? 오늘 포스팅에서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담보설정방식주택연금을 가입할 때 담보설정방식은 저당권방식과 신탁방식이 있습니다. 저당권방식은 주택소유자가 주택에 저당권을 설정하여 담보로 주택금융공사에 제공하는 방식이고, 신탁방식(21.06.09 시행)은 주택소유자와 공사가 체결하는 신탁계약에 따른 신탁을 소유권 이전(등기)하여 담보로 주택금융공사에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말이 너무 어렵나요? 중요한 것은 공사가 어떤 방식으로 담보를 취득하느냐보다 각 방식별로 가입자에.. 2024. 8. 23. 이전 1 2 다음